1. #include int main(void) { char ch; printf("문자를 하나 입력하세요 >> "); ch = getchar(); printf("\n%c의 아스키 코드값은 십진수로 %d 입니다.", ch, ch); return 0; } /* 문자를 하나 입력하세요 >> * *의 아스키 코드값은 십진수로 42 입니다. */ 2. #include #include int main(void) { char ch[30]; printf("한 단어를 입력하세요 >> "); scanf("%s", ch); // scanf() : 문자열 표준입력 int len = strlen(ch); // len : 문자열 ch의 길이 printf("입력한 단어를 반대로 출력합니다 >> "); for (int i = len..
C Programming
01. 문자와 문자열 문자와 문자열 개념 문자 : 한 글자를 작은 따옴표로 감싼 것 EX) 'A' 작은따옴표에 의해 표기된 문자를 문자 상수 문자열 : 문자의 모임인 일련의 문자 / 일련의 문자 앞 뒤로 큰 따옴표로 둘러싸서 "java"로 표기 EX) "java" ** 문자의 나열인 문자열은 'ABC'처럼 작은따옴표로 둘러싸도 문자가 될 수 없으며 오류가 발생 문자와 문자열의 선언 char형 변수에 문자를 저장 C언어는 문자열 저장을 위한 자료형을 따로 제공하지 X 문자열 = 문자들을 원소로 하는 배열의 형태 **문자열은 문자열의 마지막을 의미하는 NULL 문자(코드 번호 0번 문자) '\0'가 마지막에 저장되어야 한다. 때문에 문자열이 저장되는 배열크기는 반드시 저장될 문자 수 보다 1이 커야 한다. ..
1. #include int main(void) { // int형 변수 data, 100 저장 int data = 100; // 저장값, data의 주소값 출력 printf("%d %16p", data, &data); return 0; } /* 100 0061FF1C */ 2. #include int main(void) { int a[5] = {1, 2, 3, 4, 5}; // 배열 a int* p; // 포인터 p p = &a[2]; // 포인터 p : a[2]의 주소값 저장 // 배열 원소 모두 출력 printf("%d, %d, %d, %d, %d", *(p-2), *(p-1), *p, *(p+1), *(p+2)); } /* 1, 2, 3, 4, 5 */ 3. #include #include // d..
1. // 10장 프로그래밍 연습 1번 #include int main() { extern int x; printf("정수형 변수 x = %d", x); return 0; } int x = 10; 2. // 10장 프로그래밍 연습 2번 #include // 전역 변수로 배열 stack을 선언해 사용 #define MAXSIZE 3 int stack[MAXSIZE]; // 변수 top을 전역 변수로 저장, 초기값 -1 int top = -1; // isfull() : stack에 MAXSIZE 만큼 자료가 차 있는지 반환 int isfull() { return (top == (MAXSIZE - 1)); } // push() : stack에 파라미터의 정수 값을 저장 void push(int x) { // ..
01. 전역변수와 지역변수 변수의 유효 범위(scope) : 변수가 사용될 수 있는 범위 변수의 유효 범위에 따른 구분 1. 지역 유효 범위(local scope) : 함수 또는 블록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가 선언된 이후 함수나 블록에서 사용되는 변수의 유효 범위 2. 전역 유효 범위(global scope) ; 프로젝트나 파일에서 사용 가능한 범위 지역변수 (= 자동변수, 내부변수) 1. 함수 : 선언된 함수 내부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 2. 블록 : 선언된 블록 내부에서 사용 가능한 변수 + 함수의 매개변수도 함수 전체에서 사용 가능한 지역변수와 같다. + 지역변수는 선언 후 초기화하지 않으면 쓰레기 값이 저장되므로 주의 + 지역 변수가 할당되는 메모리 영역 : 스택(STACK) 지역변수는 선언된 부분에..
1. 함수의 인자 전달 방식 - 값에 의한 호출과 참조에 의한 호출 방식 1. 함수에서 값의 전달 C언어는 함수의 인자 전달 방식이 기본적으로 값에 의한 호출(call by value) 방식 Call by value (값에 의한 호출) : 인자로 받은 값을 복사하여 처리 복사하여 처리하기 인자로 받은 값이 보존 / 복사를 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남 2. 함수에서 주소의 전달 C언어에서 포인터를 매개변수로 사용하면 함수로 전달된 실인자의 주소를 이용하여 그 변수를 참조할 수 있다. 이와 같이 함수에서 주소를 전달해 호출하는 방식을 주소에 의한 호출 (call by address) [call by address = call by reference] Call by reference (참조에 의한 호출..